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IAEA "국제기준 부합"보고서 발표…일 방류 시점은?

2023-07-05 1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IAEA "국제기준 부합"보고서 발표…일 방류 시점은?<br /><br /><br />국제원자력기구, IAEA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적합하다는 내용의 최종보고서를 내면서 이제 관심사는 구체적인 방류 시기로 옮겨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는 이번 보고서 결과를 주변국 설득 자료로 활용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방일 중인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모레 우리나라를 방문해 보고서를 직접 설명할 예정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어제 IAEA 그로시 사무총장이 기시다 일본 총리를 만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을 평가한 최종 보고서를 전달했습니다. 일본 측의 방류계획에 별문제가 없다고 판단을 했습니다. 예상했던 내용이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일본 정부는 이번 보고서로 방류에 국제적 신뢰를 얻었다고 판단할 텐데요. IAEA의 그동안의 검증 작업과 절차, 그리고 어제 결과물까지, 국제사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 충분하다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IAEA는 방류 이후에도 어떻게 하겠다는 얘기도 했죠. 어떻게 관리와 모니터링을 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이제 기시다 총리의 최종 결정만 남았는데요. 해저터널 공사도 끝났고 시운전 등 준비작업도 이미 마친 상황인데, 일본 언론에서 구체적인 방류 시점에 대해 나온 이야기는 없나요?<br /><br /> 이번 IAEA 최종보고서가 공개된 이후 일본 내 여론도 궁금한데요. IAEA 최종보고서가 오염수 방류 반대 여론을 누그러뜨리는데 도움이 될 거라 보시나요?<br /><br /> 일본 내 반대뿐만 아니라 주변국들의 반대도 설득해야 하는 상황인데요. 당장 중국 외교부는 IAEA 최종보고서가 공개되자마자 바로 유감 표명을 했습니다. 현재 중국에 일본 경제단이 방문해 있는 상황인데, 일본은 중국을 어떻게 설득하려고 할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오늘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오는 13∼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(ARF) 등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한국·중국 외교장관과 개별적으로 회담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 반면 미국은 일본의 방류 계획을 사실상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. 아무래도 우리나라를 비롯해 태평양 도서국들이 일본의 방류 계획에 반대하는 점을 의식한 발언이라고 봐야겠죠?<br /><br /> 우리 정부는 IAEA 보고서가 공개된 어제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, 잠시 뒤 11시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관련 일일 브리핑을 통해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보이는데요. 정부도 방류가 최종 단계에 이른 만큼 신중히 판단해서 입장을 내놓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일본에 보고서를 전달하고 현장 방문 등의 일정을 마친 뒤 오는 7일부터 2박 3일간 우리나라를 방문합니다. 한국만 방문을 하는 건가요? IAEA 사무총장의 방문이 오염수 반대 여론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거라 보시나요?<br /><br /> 현재까지 일본 수산물 수입을 규제하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, EU만 남은 상태인데요. 최근 EU에서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규제 해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. 중국은 IAEA 보고서 공개 뒤 곧바로 오염수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에 수입규제를 풀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는데요. 우리나라는 어떨까요? 안전성 검증이 되지 않으면 수입재개를 하지 않겠다고 했는데, IAEA가 안전성 검증을 해 준 셈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